1. 트리
노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며, 노드끼리 사이클을 이루지 않는 구조이다.
위의 그림처럼 루트노드부터 가지가 뻗어나와 다른 노드들이 붙어있는 모습이 나무를 닮았다고 하여 트리라고 불린다.
유닉스, 리눅스의 디렉터리 구조도 트리구조이다.
추가적으로 사이클은, 여러 노드와 노드가 이어져있을 때, 간선을 따라 가다보면 처음 정점을 다시 만나는 구조로 처음 정점과, 끝 정점이 같은 경우를 말한다.
하지만 트리는 부모 -> 자식 노드로만 이어져 있기 때문에 처음 정점이 끝 정점이 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사이클을 이루지 않는 구조라 한것이다.
1-1. 용어
- Node(=vertex정점) : 트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요소. 노드 = 데이터 + 다음 노드의 주소
- Eage(간선) : 노드를 연결하는 선
- Root Node : 트리의 가장 위에 있는 노드
- Leaf Node : 가지의 가장 아래쪽, 즉 자식이 없는 노드
- Level : 루트노드를 0으로 하여 야래쪽의 노드 중 가지를 쳐서 연결된 노드들의 깊이
- Parent Node : 아래로 가지를 뻗어 자식 노드를 가지고 있는 노드
- Child Node : 위에서 가지가 이어져나와 이어져있는 노드
- Depth : 트리에서 노드가 가질 수 있는 최대 레벨
2. 그래프
그래프는 트리처럼 노드와 간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트리와는 다르게 간선의 방향이 다양하다.
정확히는 트리는 그래프의 한 종류이다. 2-1을 보자.
2-1. 그래프의 종류
무방향 그래프
방향이 없는 그래프로, 노드와 노드가 간선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어느방향이나 상관없이 갈 수 있다.
간선은 직선으로 표현한다.방향 그래프
간선에 방향이 있는 그래프로, 간선이 화살표로 표현된다. 해당 방향으로만 갈 수 있다.
표현 할 때 A -> B라면 <A, B>로 표현한다.
참고로 트리에서도 간선을 직선으로 표현하는데, 편의상 직선으로 표현한것일 뿐, 실제로는 부모에서 자식으로만 방향이 있기 때문에 방향 그래프에 속한다.가중치 그래프(네트워크)
간선이 비용 또는 가중치가 할당된 그래프로, 노드끼리 간선을 타고 이용할 때 비용이 드는 경우를 말한다.
네트워크라고도 한다.연결 그래프
무방향 그래프에서 모든 노드가 항상 경로가 존재하는 경우를 말한다.
즉, 모든 노드가 간선을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비연결 그래프
무방향 그래프에서 특정 노드에 대한 경로가 없는 경우를 말한다.사이클 그래프
시작노드와 종료노드가 동일한 경우를 말한다.
시작과 종료가 같기 때문에, 시작노드에서 출발하면 마지막도 시작노드에서 끝나기 때문에 사이클을 그린다고해서 사이클 그래프이다.비 사이클 그래프
시작노드와 종료노드가 다른경우, 사이클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완전그래프
모든 노드가 서로 연결되어있는 그래프
위의 설명에 따르면 트리는 그래프의 일종으로, 방향 그래프, 연결 그래프, 비 사이클 그래프에 속한다.
2-2. 트리와 그래프
| |그래프|트리| |:–|:–|:–| |정의|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으로 표현되는 자료구조|방향성이 있는 비순환 그래프| |종류|방향그래프, 무방향그래프, 비연결그래프…다양하게 있다.|방향그래프| |사이클|사이클이 있는것도, 없는것도 있다.|사이클이 없다.| |루트노드|루트노드가 없다.|루트노드가 있다.| |부모&자식|부모와 자식의 개념이 없다.|부모와 자식의 개념이 있다.|
3. 이진트리 & 이진탐색트리
이진트리는 노드 하나 당 아래로 뻗어나온 가지가 최대 두개까지 있는 트리를 말한다.
이진탐색트리(BST Binary Search Tree)는 이진 트리에서 현재 노드보다 작은 값은 왼쪽, 큰 값은 오른쪽 노드로 가는 조건이 있는 트리이다.
이진탐색트리를 이용하면 값이 이미 정렬되어있기 떄문에 빠르게 원하는 값을 탐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 이진탐색트리 구현하기
4-1. 준비
1
2
3
4
5
6
7
8
9
class Node :
def __init__(self, data) :
self.data = data
self.left = None
self.right = None
class BinarySearchTree :
def __init__(self, data) :
self.root = Node(data) # 루트노드에 값을 하나 넣는다.
4-2. 이진탐색트리에 값 삽입하는 메서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def insert(self, data) :
self.current_node = self.root
while True :
# 현재 넣으려는 값이 루트값보다 작을경우 왼쪽으로
if data < self.current_node.data :
# 왼쪽노드가 있다면 계속 탐색
if self.current_node.left != None :
self.current_node = self.current_node.left
else : # 없다면 그자리에 값 넣기
self.current_node.left = Node(data)
break
else : # 현재 넣으려는 값이 루트값보다 클경우 오른쪽으로
if self.current_node.right != None :
self.current_node = self.current_node.right
else :
self.current_node.right = Node(data)
break
4-3. 이진탐색트리에서 값이 있는지 찾기
1
2
3
4
5
6
7
8
9
10
def search(self, data) :
self.current_node = self.root
while self.current_node :
if self.current_node.data == data :
return True
elif data < self.current_node.data :
self.current_node = self.current_node.left
else :
self.current_node = self.current_node.right
return False
4-4. 이진트리에서 값 삭제하기
삭제하는 노드가 리프노드라면 다행이지만, 아래에 자식이 있는 부모노드라면 빈자리를 다른 노드가 채워주어야 한다.
경우의 수를 잘 생각해보자.
자식노드가 없는경우
삭제하려는 노드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만 자식이 있을 경우
삭제할 노드의 왼쪽 또는 오른쪽 자식과 부모를 이어주면 된다.삭제하려는 노드의 양쪽에 자식이 있을 경우
이런경우 2가지 방법이 있다.
3-1. 삭제하려는 노드의 오른쪽 자식 중 가장 작은 자식을 가져와 빈자리에 넣는다.
3-2. 삭제하려는 노드의 왼쪽 자식 중 가장 큰 자식을 가져와 빈자리에 넣는다.
하지만 이련경우 가져온 자식에게도 또다른 자식이 있으면 그부분도 처리를 해줘야 한다.
위의 3번을 보면 삭제하려는 노드의 오른쪽 또는 왼쪽 자식 중 가장 작은 자식 또는 가장 큰 자식을 가져와 빈자리에 넣는다고 되어있는데, 그 이유는 아래의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다.
3-1.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아래의 자식들 중 하나를 가져다 써야 하는데 만약 오른쪽 자식 중 하나를 쓴다고 하면, 오른쪽 자식 중 가장 작은값을 빈자리에 넣어야 왼쪽은 부모보다 작고 오른쪽은 부모보다 커야한다는 이진탐색트리의 조건을 만족한다.
3-2 왼쪽자식에서 가져다 쓰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def delete(self, data) :
# 삭제할 노드가 있는지 확인하기
searched = False # 삭제할 값을 찾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searched
self.current_node = self.root # 현재노드
self.parent_node = self.root # 부모노드
while self.current_node : # 현재 노드가 있는 동안 반복
# 만약 현재 노드가 삭제하려는 값과 같다면 탐색 중지
if self.current_node.data == data :
searched = True
break
# 만약 현재 노드가 삭제하려는 값보다 크다면 왼쪽 탐색
elif data < self.current_node.data :
self.parent_node = self.current_node
self.current_node = self.current_node.left
else : # 현재 노드가 삭제하려는 값보다 작다면 오른쪽으로
self.parent_node = self.current_node
self.current_node = self.current_node.right
if searched == False :
return False
# 삭제하려는 값을 찾은 경우 이곳으로들어온다.
# 1. 만약 삭제하려는 노드가 자식이 없는 리프노드라면..
if self.current_node.left == None and self.current_node.right == None :
if data < self.parent_node.data : # 현재 값이 부모의 왼쪽노드라면
self.parent_node.left = None # 부모의 왼쪽인 나와 연결 끊기
else : # 부모의 오른쪽 노드라면
self.parent_node.right = None # 부모의 오른쪽인 나와 연결 끊기
# 2. 만약 삭제하려는 노드가 자식노드가 있다면...
# 2-1. 자식노드가 왼쪽만 있다면
elif self.current_node.left != None and self.current_node.right == None :
# 나의 부모와 나의 자식을 이어주자.
if data < self.parent_node.data : # 2-1-1. 내 자식이 왼쪽
self.parent_node.left = self.current_node.left
else : # 2-1-2. 내 자식이 오른쪽
self.parent_node.right = self.current_node.left
# 2-2. 자식노드가 오른쪽이라면
elif self.current_node.left == None and self.current_node.right != None :
# 나의 부모와 나의 자식을 이어주자.
if data < self.parent_node.data : # 2-2-1. 내 자식이 왼쪽
self.parent_node.left = self.current_node.right
else : # 2-2-2. 내 자식이 오른쪽
self.parent_node.right = self.current_node.right
# 3. 삭제하려는 노드가 자식노드가 두개 있다면...
elif self.current_node.left != None and self.current_node.right != None :
if data < self.parent_node.data : # 삭제할 노드가 부모의 왼쪽 자식이었다면
# 3-1. 삭제하려는 노드의 오른쪽 중 가장 작은 값이 현재 자리에 와야함(혹은 왼쪽 중 가장 큰값)
self.change_node = self.current_node.right # 빈자리를 채워줄 노드
self.change_node_parent = self.current_node.right # 빈자리를 채우는 노드의 부모 노드
while self.change_node.left != None : # 삭제노드의 오른쪽 자식을 탐색하여 가장 작은 값을 찾는다.
self.change_node_parent = self.change_node
self.change_node = self.change_node.left
if self.change_node.right != None : # 옮기려는 자식에 오른쪽 자식이 있다면
self.change_node_parent.left = self.change_node.right # 옮길자식의 부모와 자식을 이어준다.
else : # 옮기려는 자식에 오른쪽 자식이 없다면(=리프노드)
self.change_node_parent.left = None
self.parent_node.left = self.change_node # 빈자리에 바꿀 노드를 넣는다.
self.change_node.right = self.current_node.right # 바꾼노드의 오른쪽에 기존에 있던 노드들을 이어준다.
self.change_node.left = self.change_node.left # 바꾼 노드의 왼쪽에 기존에 있던 노드들을 이어준다.
else : # 삭제할 노드가 부모의 오른쪽 자식이었다면
self.change_node = self.current_node.right
self.change_node_parent = self.current_node.right
while self.change_node.left != None : # 빈자리를 대신할 노드를 찾기
self.change_node_parent = self.change_node
self.change_node = self.change_node.left
if self.change_node.right != None : # 대신할 노드의 오른쪽에 자식이 있다면
self.change_node_parent.left = self.change_node.right # 빈자리의 부모-빈자리의 오른쪽 연결
else : # 옮기려는 자식에 오른쪽 자식이 없다면(=리프노드)
self.change_node_parent.left = None
self.parent_node.right = self.change_node # 빈자리에 바꿀 노드를 넣는다.
self.change_node.right = self.current_node.right # 바꾼 노드의 오른쪽에 기존 노드들을 이어준다.
self.change_node.left = self.current_node.left# 바꾼 노드의 왼쪽에 기존에 있던 노드들을 이어준다.
return True
나중에 더 간단하게 작성하는 법을 생각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