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자료구조 & 알고리즘 10. 힙
Post
Cancel

자료구조 & 알고리즘 10. 힙

1. Heap

힙은 여러 자료 중 최대, 최소값을 빠르게 찾기 위해 만들어진 완전 이진 트리로, 우선순위 큐를 위하여 만들어졌다.
(완전 이진 트리는 가지가 두개이며, 노트를 삽입할 때 최하단 왼쪽 노드부터 차례로 삽입해서 한 레벨에 빈칸이 있으면 다음 레벨로 넘어갈 수 없는 트리를 말한다.)

최대힙, 최소힙

힙에는 최대힙과 최소힙이 있는데, 최대힙은 부모노드가 자식노드보다 무조건 크기 때문에,
루트노드에는 항상 해당 배열의 최대값이 온다.
그 반대로 최소힙은 부모노드가 자식노드보다 무조건 작기 때문에, 루트노드에는 최소값이 온다.
하지만, 힙은 최대나 최소의 위치만 정해진 반정렬 상태로, 다른 값을 찾을 때는 소용 없다는 단점도 있다.

또, 힙은 우선순위 큐를 위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힙에서 데이터를 삭제한다고 하면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수가 적혀있는 루트노드를 삭제한다.


1-1. 힙의 인덱스

힙은 배열을 이용하여 구현하는것이 편한데, 부모와 자식 노드간 인덱스를 보면 규칙이 있다.

힙의 인덱스

1
2
3
부모 index = (자식 index) / 2
왼쪽 자식 index = (부모 index) * 2
오른쪽 자식 index = (부모 index) * 2 + 1

위의 그림에서 보면 루트가 1인 경우 깔끔하게 자식 노드들의 인덱스를 알아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배열을 이용하여 힙을 구현하면 인덱스 0번은 사용하지 않고, 1부터 사용한다.



1-2. 복잡도

힙은 데이터를 넣고 뺄 때 위치를 조정해주어야 한다.
부모 노드 값을 통하여 자신이 들어갈 자리를 계속 탐색해야 하는데, 완전 이진 트리이므로 완전 이진 트리를 탐색하는 시간과 똑같이 \(log n\)이다.
삭제를 할 때도 루트노드를 삭제한 후 최대값인 노드를 루트로 다시 옮겨야 하는데 해당 과정도 \(log n\)이 된다.



2. 구현하기

아래에서 구현한 힙은 최대힙이다.

1
2
3
4
5
class Heap :
  def __init__(self, data) :
    self.heap_array = list()
    self.heap_array.append(None) # 0번은 비워둔다.
    self.heap_array.append(data) # 1번부터 들어온 값을 넣는다.

힙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메서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def insert(self, data) :
  if len(self.heap_array) == 0 : # 만약 데이터가 하나도 없다면 
    self.heap_array.append(None) # 일단 0번에 None 추가
    self.heap_array.append(data) # 1번에 값 추가
    return True # 데이터 넣은 후 True 반환
  self.heap_array.append(data) # 배열에 데이터가 있다면 이어서 추가
  # 그런데 들어간 데이터가 부모노드보다 크다면 부모와 자리를 바꿔줘야 한다.
  inserted_index = len(self.heap_array) - 1 # 현재 데이터가 들어간 인덱스 번호
  # 루트노드의 자리에 가면 중단한다.
  while inserted_index > 1 :
    # 만약 현재 값이 부모 값보다 크다면 자리를 바꿔준다.
    if self.heap_array[inserted_index] > self.heap_array[inserted_index // 2] :
      self.heap_array[inserted_index], self.heap_array[inserted_index // 2] =  self.heap_array[inserted_index // 2],  self.heap_array[inserted_index]
      inserted_index = inserted_index // 2
    else : # 작다면 중단한다.
      break

힙에서 데이터를 빼는 메서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def pop(self) :
  # 힙에 데이터가 없다면 None 반환
  if len(self.heap_array) <= 1 :
    return None
  result = self.heap_array[1] # 힙의 루트값을 반환해준다.
  # 힙의 가장 마지막 값을 루트노드에 넣어준다.
  self.heap_array[1] = self.heap_array[-1]
  del self.heap_array[-1]
  cur_index = 1
  # 자식노드가 있을 때까지 아래의 과정을 반복한다.
  while cur_index * 2 <= len(self.heap_array) - 1 :
    # 양쪽 노드가 다 있는 경우
    if cur_index * 2 + 1 <= len(self.heap_array) - 1 :
      if self.heap_array[cur_index * 2] > self.heap_array[cur_index * 2 + 1] :
        if self.heap_array[cur_index] < self.heap_array[cur_index * 2] :
          # 왼쪽, 현재, 오른쪽 노드 중 왼쪽 노드가 가장 큰 경우
          self.heap_array[cur_index], self.heap_array[cur_index * 2] = self.heap_array[cur_index * 2], self.heap_array[cur_index]
          cur_index = cur_index * 2
        else :
          # 왼쪽, 오른쪽, 현재 중 현재가 가장 큰 경우
          break
      else :
        if self.heap_array[cur_index] < self.heap_array[cur_index * 2 + 1] :
          # 왼쪽, 현재, 오른쪽 중 오른쪽이 가장 큰 경우
          self.heap_array[cur_index], self.heap_array[cur_index * 2 + 1] = self.heap_array[cur_index * 2 + 1], self.heap_array[cur_index]
          cur_index = cur_index * 2 + 1
        else :
          # 왼쪽, 현재, 오른쪽 중 현재가 가장 큰 경우
          break
    else : # 왼쪽 자식만 있는 경우
      if self.heap_array[cur_index] < self.heap_array[cur_index * 2] :
          # 왼쪽, 현재 노드 중 왼쪽 노드가 더 큰 경우
          self.heap_array[cur_index], self.heap_array[cur_index * 2] = self.heap_array[cur_index * 2], self.heap_array[cur_index]
          cur_index = cur_index * 2
      else :
        # 왼쪽 현재 중 현재가 가장 큰 경우
        break
  return result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

자료구조&알고리즘 09. Binary Search

자료구조 & 알고리즘 11. 트리와 그래프